애드센스에 대해서 설명을 드렸습니다.

[블로그 팁]애드센스 소개


그럼면 승인을 받는 방법을 알려드릴거에요.

저는 1차 승인은 유튜브로 했습니다.

1차 승인은 다들 크게 어렵지 않게 나는 듯합니다.

유튜브 설정에서 동영상으로 수익창출을 사용하면 애드센스로 연결되고 사이트에서 알려주는 대로 진행하면 비교적 빠르게 승인이 됩니다.

중요한건 2차입니다.
2차가 애드 고시라고 불릴 정도로 엄청난 불합격을 자랑합니다.
다른 사이트나 블로그를 찾아보면
애드센스가 광고를 올릴만한 글을 업로드하세요.
양질의 컨텐츠를 준비하세요.
등등 이런 글들이 있는데..
이런 글은 배가 고프면 밥을 드시면 됩니다. 라는 글과 다를게 없어요.

약간의 요령도 필요하고 운도 조금 작용하는 듯합니다.

저도 1달 정도 걸렸습니다.



일단 먼저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어서 100개 정도 글이 있었어요.
그 상태로 지원해봤더니 역시나 컨텐츠 불충분.
그래서 글자수를 꽉꽈 채운 양질의 컨텐츠로 포스팅을 한 다음 지원해도 컨텐츠 불충분.
그래서 기존 포스팅들을 전부다 비공개로 숨겨놓고 양질의 컨텐츠만 오픈한 상태로 승인을 올렸습니다.
그랬더니 그제야 승인이 나더라구요.

그럼 양질의 컨텐츠란 무엇이냐?

애드센스에서 답장온 널리 알려진 기준으로는


라고 합니다.

페이지의 충분한 양의 텍스트
1. 글자수 1,000자 이상의 포스팅 (o)
- 이건 중요한 듯합니다. 글자수 1,000개 이상을 맞춰서 올렸을때 승인 되었습니다.

2. 포스팅 갯수
- 이건 말이 많은 부분이긴 합니다. 저는 10개를 채웠을때 승인되었습니다.

3. 카테고리 관리 (o)
- 기존 포스팅을 비공개로 숨겨놓고 카테고리만 남겨놨을때는 승인이 안되다가 카테고리까지 숨겨놨더니 승인이되더라구요.

4. 그림, 동영상은 싫어요.
- 이건 잘.. 저는 휴대폰 포스팅이라 사진은 꽤 많은 편인대도 승인되더라구요. 무조건적으로 거르지는 않는 듯합니다.

5. 포스팅 집중 (o)
- 여러 카테고리에 한두개씩 포스팅이 있는것 보다 한 카테고리에 많은 포스팅이 있는게 유리합니다

완전한 문장이나 구문
6. 맞춤법
- 애매하긴하지만 ~했구요. ~이에요. 보다는 ~입니다. ~습니다. 가 더 좋다고합니다.
애드센스가 외국 회사인 만큼 한글을 영어로 번역하는데 맞춤법이 맞아야 더욱 정확하게 번역되겠지요? 라는 카더라 통신이 있습니다.

광고 코드 삽입
7. 승인 받으려면 당연히 광고 코드를 삽입하고 결과를 기다리는 거죠? 방법을 모르시지는 않겠지요?

탐색 방법 제공
8. 사이트맵을 등록하여 검색이 잘되게하는 방법도 도움이된다는데.. 물론 저도 해봤는데.. 그게 도움이 되었는지는 모르겠어요. 구글은 원래 검색이 잘되서..



몇번의 요청 거부 메일을 받아보시면 조금 짜증이 나기도 하지만 이왕 포스팅하는거 조금 더 고생하고 이후에 수입을 올려보아요~

그리고 애드센스가 승인이 잘 안떨어져서 그렇지 승인을 받고 나면



다양한 방법으로 수익을 증대할 수 있게 알려줍니다.

첫술에 배부를 수는 없는거에요.
애드센스 승인되자마자 몇백 달러를 벌고 그런 사람들은 정말 잘하는 사람들이고 열심히 하는 우리들은 차근차근 쌓아올리면 됩니다.


조금씩 조금씩 쌓아가는거에요.

o(>_<)o

블로그로 돈을 번다?

여러가지 의미로 쓰이고 있는 말입니다.
실제로도 블로그만해서 일반 월급쟁이보다 많이 버는 분들도 계시다고 하지요.

여러가지 방법으로 돈을 벌 수 있겠지만..
애드센스라는 방법을 소개할까합니다.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네이버 블로그에서는 안되요.

애드센스는 구글에서 관리하는 일종의 베너 광고입니다.
블로그에 광고하고 광고로 인한 수입을 가져갈 수 있지요.



애드센스를 이용하려면 승인을 받아야합니다.


자격증시험도 그렇지만 애드센스 승인 역시 초창기에는 굉장히 쉬웠다고 합니다.
신청만하면 거의 되는 수준이었다가 점점 어려워졌다고해요.
중간에는 유투브로 승인을 받는 편법도 있었다고 합니다만.. 현재 유투브 승인은 1차까지만 가능하다고하니 참고해주세요.

애드센스 승인이 점점 어려워지다보니 애드고시라고 불리며 많은 블로거에게 좌절을 주고 있습니다.

저 역시도 최종 승인까지 한달정도 걸린 듯 싶어요.

하지만 이왕 블로그하는거 조금이라도 돈을 벌수 있다면 좋지 않겠어요?

일단 애드센스 소개는 여기까지 하고
다음 글에서 애드센스 승인 받은 경험을 들려드릴께요~

o(>_<)o

네이버 블로그를 하다보면

사이드에 여러가지 스티커 같이 붙어있는 위젯을 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검색바나 달력등이 아닌

광고형 위젯들을 직접 만들 수 있다면?


자 그럼 제가 위젯을 만드는 비밀을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이렇게 투박하게 만들었지만


만들기에 따라서 화려하게도 만들 수 있습니다.


아!

일단 위젯은 어떨때 쓰느냐~

하면 말이지요.


내가 광고하고픈 사이트나 광고하픈 블로그 바로가기에 주로 사용하고요.

그림으로 어떤 단체의 소속임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자 그럼 시작하기에 앞서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위젯으로 사용할 이미지가 필요합니다.


사이즈는 가로 170픽셀 x 600픽셀 입니다.

세로는 600 이하면 되는듯합니다.


(1) 이미지가 준비되었다면



요즘 핫한 3.0 버전이 아닌


(2) 이전 버전으로 포스트를 작성해주세요.


그리고 포스트에 (1) 이미지를 등록해주세요.



(3) 위젯으로 바로가기를 할 사이트 주소를 CTRL + C로 복사합니다.


(4) 포스트 내에서 이미지를 선택합니다.


이미지 주변에 사각형을 확인하시고요.


아래 그림에 파랑색 화살표로 표시된


(5) URL을 눌러줍니다.


그림처럼 해주시면 되요.


(6) 주소를 입력하는 팝업이 생성되는데 (3)에서 복사한 주소를

붙여넣기 CTRL + V 합니다.



(7) 주소를 입력한 후 적용을 누르고

우측 하단에 파랑색 화살 가르키는 HTML을 눌러주세요.


누르면



이런 소스코드가 뜨는데.


(8) HTML을 눌러서 소스코드가 나오면

글 맨앞의 <p>

글 맨끝에 <br></p>

그림에는 안나왔지만 &nbsp;

도 지워 주셔야합니다.


위 그림에서 파란색으로 음영처리된 부분을 지워주시면 됩니다.


(9) (8)에서 정리된 소스코드를 CTRL + A를 눌러 선택한 후

CTRL + C로 복사합니다.


그리고



굳이 위젯 자료를 공개할 필요가 없으니 비공개로 저장합니다.



자 그럼 위젯을 만들었으니 블로그에 올려야겠지요?



(10) 블로그 메인 메뉴의 관리로 들어갑니다.



(11) 레이아웃, 위젯 설정 메뉴로 들어갑니다.



(12) 우측 하단에서 위젯직접등록 BETA를 클릭합니다.


여러가지 위젯을 만들었다면 추가한 위젯들을 여기서 관리(추가/삭제)가 가능합니다.



(13) 위젯명에는 구분할 이름

위젯 코드에는 (9)에서 복사한 소스코드를 CTRL + V 붙여넣기 합니다.


붙여넣기 한 후 다음을 누르면




(14) (1)에서 준비한 이미지가 나오는데 제대로 들어갔는지 확인하고

등록을 눌러 주시면 됩니다.



(15) 좌측에 보면 위젯이 생성된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우스로 드레그 하여 위치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16) 위치를 정하고 최종적으로 하단에 적용을 누르면

블로그에 위젯이 적용 됩니다.



(17) 이렇게 완성입니다.


어때요? 설명이 길어지긴 했지만 어렵지 않습니다.


이제 블로그에 자기만의 위젯으로 더 센스있게 꾸며보아요~


o(>_<)o


티스토리 포스팅을 하다가 갑자기 화면 멈춤 현상이 생겼습니다.


정확히는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글쓰기 창에만 들어가면 화면이 멈추고 CPU 자원을 마구마구 먹어주는 현상입니다.


일단 

해결을 위해 시도했던 방법들은..


1. 재부팅


되는 사람들도 있다는데..

안되더라구요. 

몇번을 해도 글쓰기 화면에서 멈춰버립니다.


2.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 추가


http:// 로도 해보고 https:// 로도 해봤습니다.



결론은 실패..

이 방법 역시 되는 사람도 있다고 합니다.



여기까지면 사실상 방법이 없지요.


어떤분은 소스코드를 수정해서 해결하시던데 그건 좀 어려우니..



제가 해결한 방법은 크롬을 사용하니 해결되더라구요.


익스플로어랑 티스토리 호환성 문제라 크롬을 쓰면 해결된다고합니다.


문제 해결방법이 맘에 들지는 않지만.. 일단 급한 불은 꺼야하니까요.


여기저기 찾아보니 여러가지 시도로 되는 방법들이 많은거 같습니다.


o(>_<)o

+ Recent posts